로고

조계만

조계만

소속

경상국립대학교 (식품공학부)

AI요약

경상국립대학교 식품공학부 조계만 교수는 발효 및 생물전환 기술을 활용하여 기능성 식품 및 바이오소재 개발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산양삼, 새싹삼, 콩잎 등 천연물 기반의 고부가가치 소재 연구를 통해 항산화, 면역 증진, 갱년기 증상 개선, 피부 미용 등 다양한 건강 증진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또한 지속가능한 농업과 우주식량 개발에도 기여하며 미래 식품 산업의 혁신을 이끌고 있습니다. 조계만 교수의 연구는 국민 건강 증진과 바이오 산업 발전에 이바지합니다.

기본 정보

연구자 프로필
조계만 프로필 사진
연구자 명조계만
직책교수
이메일kmcho@gnu.ac.kr
재직 상태재직 중
소속경상국립대학교
부서 학과식품공학부
사무실 번호0557723272
연구실식품생명자원실험실
연구실 홈페이지http://greenbio.gnu.ac.kr/sub/sub3_1.php
홈페이지https://www.gnu.ac.kr/foodsci/pi/prfsr/selectPrfsrIntrdView.do?mi=7873&ctgrySn=48

경력정보

회사명순천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재직기간-
담당업무박사후연구원
회사명함양산양삼풀뿌리기업육성사업단
재직기간-
담당업무단장
회사명한국응용생명화학회
재직기간재직 중
담당업무운영위원/이사
회사명(재)경남과학영농인력육성재단
재직기간재직 중
담당업무이사
회사명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품공학부
재직기간재직 중
담당업무교수

중요 키워드

#진세노사이드#그린바이오#바이오소재#기술사업화#대사체 조절#슈퍼에이저#새싹삼#식품공학#이소플라본#화장품 소재#발효 기술#기능성 식품#산양삼#콩잎#항노화

대외활동

활동 내용[기술사업화 및 협력 활동] - 2025년도 대학기술경영촉진사업(IP스타과학자사업) 최종 선정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사업화진흥원 주관) - 민간 사업화 전문기관(아이피온)과 협력하여 지식재산 고도화 및 우수 연구성과의 사업화 지원 - 총 6건의 기술이전 보유 (대표 사례: 진세노사이드 F3, Rg2, F1, Rd, Rd2, F2, Rg3, 프로토파낙사트리올 및 프로토파낙사디올이 강화된 산양삼새싹 버섯균사체 발효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관련 기술) [연구 성과] - SCI급 논문 140여 편 보유 - 특허등록 90건

주요 연구 내용

연구 내용[연구 분야] 핵심 분야: 대사체 Flux 조절, 슈퍼에이저 소재 생산 기술, 발효 기술, 바이오소재 개발 세부 분야: 콩과작물 기반 기능성 소재 개발, 산양삼/새싹삼 유효성분 극대화, 장내 미생물 연관 질환 개선, 식량/바이오소재 생산 기술, 항노화 바이오 클러스터 구축 [대표 연구 내용] 조계만 교수는 식물성 소재의 유효성분을 극대화하고 이를 활용한 기능성 식품 및 바이오소재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대사체 Flux 조절 기반 슈퍼에이저 소재 생산 기술]과 [발효 전환 기술을 이용한 기능성 성분 강화] 분야에서 독보적인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문제 정의: 현대인의 건강 문제(갱년기 증후군, 비만, 대사 질환, 호흡기 질환 등)는 물론, 고부가가치 생명 자원 활용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습니다. 기존 소재의 기능성 한계를 극복하고 흡수율을 높이는 기술적 난제가 존재합니다. 기술 우위: 조계만 교수 연구팀은 특정 미생물(버섯균사체, 홍국균, 바실러스 소노렌시스 등)을 활용한 정밀 발효 기술과 대사체 흐름 조절 기술을 통해, 산양삼, 새싹삼, 콩잎 등 천연 식물성 소재에서 핵심 유효성분(진세노사이드, 이소플라본, 루틴, 나린진 등)의 함량을 획기적으로 증진시키는 데 성공했습니다. 특히, 진세노사이드 F2, Rg3, Rd2, Compound K 등 인체 흡수형 사포닌의 함량을 극대화하여 실제 생체 이용률을 높였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단순 추출을 넘어선 생물전환을 통한 기능성 증진이라는 차별점을 가집니다. 사업 가치: 개발된 고함량 기능성 소재는 항염증, 항산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 천식 예방/치료, 갱년기 및 대사 질환 개선, 산란율 증진 사료 등 다양한 분야의 기능성 식품, 화장품, 의약품, 동물 사료 등으로 폭넓게 응용 가능합니다. 이미 (주)드림팜과의 기술이전 사례(6억 원 규모의 대사체농업기술)를 통해 상업적 가치를 입증하였으며,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을 위한 핵심 기술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특히, 맞춤형 영양 및 웰니스 시장의 성장과 함께, 천연 유래 기능성 소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높은 시장 잠재력을 가집니다.

학력

학력 사항경남과학기술대학교 식품가공학과 학사 (식품미생물) 경상국립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박사 (미생물유전학)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