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종찬
홍종찬
소속
경상국립대학교 (생명과학부)
AI요약
생명 과학 분야의 복잡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홍종찬 교수님은 식물생명공학, 바이오센서, 그리고 인공지능(AI) 융합 연구를 선도하고 계십니다. 교수님의 연구는 식물 신호 시스템 엔지니어링, 유전자 조절 및 스트레스 반응 메커니즘 규명을 통해 식물 성장을 최적화하고 질병 저항성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더 나아가 유해 물질 감지용 고감도 앱타머 바이오센서 개발과 질병 치료제 탐색에 몰두하시며, 최근에는 LLM 기반의 질의응답 시스템 개발로 AI 분야 혁신을 모색하고 계십니다. 이러한 융합 연구를 통해 인류의 지속 가능한 미래에 기여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기본 정보
연구자 프로필 | ![]() |
연구자 명 | 홍종찬 |
직책 | 교수 |
이메일 | jchong@gnu.ac.kr |
재직 상태 | 재직 중 |
소속 | 경상국립대학교 |
부서 학과 | 생명과학부 |
사무실 번호 | 0557721320 |
연구실 | 경상국립대학교 식물생명공학연구소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s://www.gnu.ac.kr/pmbbrc/na/ntt/selectNttInfo.do?nttSn=2118897&mi=9523 |
홈페이지 | - |
경력정보
회사명 | 경상국립대학교 식물생명공학연구소 |
재직기간 | 재직 중 |
담당업무 | 소장 역임, 식물 유전자 발현 조절 분야 전문가 |
회사명 | 미주리대 |
재직기간 | 재직 중 |
담당업무 | 겸임교수 |
중요 키워드
#바이오센서#시스템생물학#식물전사인자#식물분자생물학#친환경작물#환경스트레스#천연물#의료용소재#식물생명공학#앱타머#AI분석#식물신호시스템#신육종작물#유전체교정#빅데이터
대외활동
활동 내용 | [학술 교류/협력] - 경상국립대학교와 청도농업대학 간 '2024 제3회 생명과학 공동 심포지엄' 공동 주관. - 미국 미주리대학교와 2006년 복수박사학위 협정 체결 후 8번째 및 9번째 농업생명공학 공동 심포지엄 개최. - 퍼듀대학교와 국내 유일 복수 박사학위 제도 운영. - 베트남, 인도네시아, 태국, 중국 등 동남아시아 여러 대학 연구소와 활발히 교류. - BK21 FOUR 사업, RISE 사업 등을 기반으로 글로벌 연구 네트워크 확장 및 국제공동과제 수주, 연구 성과 확산 기여. |
주요 연구 내용
연구 내용 | [연구 분야] 핵심 분야: 식물생명공학, 식물 신호 시스템 엔지니어링 세부 분야: 식물 전사인자 시스템 생물학, 식물 환경스트레스 대응 신호 시스템 기전 연구, 유전체 교정 기술 활용 신육종 작물 개발 [대표 연구 내용] 식물 생명공학 분야에서 첨단 연구를 수행하며, 특히 '식물 신호 시스템 엔지니어링'에 중점을 둡니다. 이 연구는 식물의 생장, 발달, 환경 재해 내성 연구를 통해 GMO 규제에서 자유로운 친환경 작물 개발 및 고부가가치 식물, 천연물 기반 의료용 소재 및 단백질 생산을 목표로 합니다. 식물 생육, 발달, 스트레스 내성 관련 식물전사인자를 대량 확보하여 시스템 생물학의 기반을 구축하고, 국내외 기능유전체학 및 빅데이터, AI 분석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하여 국내 최고의 신육종 연구센터이자 국제적인 허브 역할을 수행하고자 합니다. 최근에는 환경 유해인자 감지 바이오센서 및 앱타머 센서 개발 연구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
학력
학력 사항 | 학사 고려대학교 농화학과, 농학사 ( 1982) 석사 고려대학교 농화학과, 석사 수료 ( 1983) 박사 조지아대학교 식물분자생물학, 이학박사 ( 1989) |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