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선원
김선원
소속
경상국립대학교 (생명과학부)
AI요약
경상국립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김선원 교수는 미생물 세포공장 기반의 혁신적인 바이오소재 개발을 선도하는 전문가입니다. 김선원 교수는 대사공학 및 합성생물학 기술을 활용하여 항노화 바이오소재, 대체육, 고부가가치 화학물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지속 가능한 생물학적 생산 방법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다수의 국책 과제와 특허 성과를 통해 바이오산업의 기술 혁신에 크게 기여하고 있으며, 미래 생명공학 분야를 이끌어갈 핵심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김선원 교수의 심도 있는 연구는 바이오 파운드리 기술의 발전을 통해 인류의 삶의 질 향상에 이바지하고 있습니다.
기본 정보
연구자 프로필 | ![]() |
연구자 명 | 김선원 |
직책 | 교수 |
이메일 | swkim@gnu.ac.kr |
재직 상태 | 재직 중 |
소속 | 경상국립대학교 |
부서 학과 | 생명과학부 |
사무실 번호 | 0557721362 |
연구실 | 합성생물대사공학연구실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synbilab.com/ |
홈페이지 | https://www.gnu.ac.kr/ls/pi/prfsr/selectPrfsrIntrdView.do?mi=5982&ctgrySn=34 |
중요 키워드
#합성생물학#세포공장#바이오소재#기술사업화#재조합 미생물#파이토플루엔#산학협력#레티노이드#메탄 저감#대체육#터펜 알코올#특허 기술#미생물 대사공학#항노화#이소프레노이드
주요 연구 내용
연구 내용 | [연구 분야] 핵심 분야: 합성생물학, 미생물 대사공학, 세포공장 기술 세부 분야: 항노화 바이오소재 개발, 기능성 이소프레노이드(레티노이드, 파이토플루엔, 터펜 알코올 등) 생산, 대체육(배양육) 식품신소재 개발, 반추동물 메탄 저감 기술 개발 [대표 연구 내용] 반추동물의 메탄 배출 문제 해결을 위해, 한우의 반추위에서 메탄 분해 능력이 뛰어난 메탄자화균과 이를 돕는 메틸영양균 복합체(컨소시엄 NC52PC)를 분리 및 배양하여 실제 한우에게 급여하는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이를 통해 메탄 배출량이 감소하고 소의 성장이나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이 없음을 확인했습니다. 이 기술은 메탄자화균을 이용한 반추동물 메탄 저감 시도 중 세계 최초의 성공 사례이며, 단순히 메탄 배출을 줄이는 것을 넘어 배출될 메탄을 동물이 다시 이용할 수 있는 영양분으로 전환시키는 '자원 선순환'의 가능성을 제시하여 친환경 축산 분야에 새로운 사업적 가치를 창출합니다. 또한, 합성생물학 기술을 기반으로 미생물 세포공장을 개발하여 레티노이드, 파이토플루엔, 터펜 알코올 등 고부가가치 기능성 바이오소재를 효율적으로 생산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항노화 바이오소재 세포공장 지역혁신연구센터를 통해 관련 기술을 고도화하고 있으며, 미래 대체육 개발을 위한 맞춤형 식품신소재 원천기술 개발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
학력
학력 사항 | 공학박사 University of Michigan 화학공학과 (1999) |
보유 기술 로딩 중...